2) 물음표가 나타나는 지점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블럭을 지정한 다음 [Ctrl]+[C]를 눌러 복사를 합니다.
예) 홍길동?과 같이 변환되면 원본엑셀파일에는 보이지 않지만 동 자 옆에 공란값이 존재하는 것 입니다. 물음표가 나타나는 부분만 드래그하여 블럭을 지정하셔야 합니다.
마우스로 ? 지점이 드래그가 어려우신 경우
홍길동? 일때 마지막 동 바로 뒤에 커서를 위치시키시고 키보드에서 Shift 를 누르신 상태에서 방향키 ->를 1번 눌려 ? 지점을 선택합니다. [Ctrl]+[C]를 눌러 복사합니다.
3) 마우스로 ? 나오는 열을 클릭하고 엑셀 메뉴 중 [편집]-[바꾸기] 에서 [찾을내용]에는 [Ctrl]+[V]하셔서 붙여넣기하시고 (아무내용이 보이지 않고 커서가 1칸만 이동됩니다.) [바꿀내용]에 스페이스를 이용, 공란을 1칸만 주시고 [모두 바꾸기]를 클릭하여 일괄처리하신 다음
가) 비트맵(Bitmap) 이미지
그래픽 프로그램을 설명할 때 비트맵 (Raster방식)방식과 벡터방식 등으로 분류한다. 우선 가장 많은 프로그램에서 채택하고 있는 Raster 방식은 흔히 Bitmap방식이라 하는데 이미지가 각각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면 이미지가 깨져 보이거나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 보통 스캔 받으면 이 이미지로 저장된다.
1) BMP - PC에서 오래 전부터 표준으로 사용하는 파일 형식으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이 형식을 지원한다.
2) JPG,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 연속적인 톤을 가지는 사진 이미지에서 압축 효과가 좋으며, 파일 용량을 고려한 이미지는 주로 이 형식을 사용하며, 인터넷 상에서 많이 사용한다.
3) GIF(Graphic Interchange Format)
- Compu Serve회사에서 만든 것으로 압축률이 좋으며, 웹사이트나 통신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투명 이미지도 지원되나 256칼라만 지원됨.(GIF89a)
4) PSD - PhotoShop에서 지원되는 포맷 형식으로 알파채널과 레이어를 포함한 형태로, 파일 용량이 크다.
5) TIFF - 페이지 레이아웃을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파일크기가 작고 빠르게 출력.
6) PCX - Paint Brush 기본 포맷
7) PNG - 웹에서 최상의 비트맵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제정한 파일 포맷
8) PDF - 아크로 뱃(Acrobat)에서 사용되는 포맷(벡터와 비트맵 모두 표현 가능)
9) PICT - 맥(Mac)에서 표준 비트맵 이미지 포맷
나) 벡터(Vector) 이미지
Vector 이미지는 일종의 수식으로 나타낸 그래픽 이미지로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해도 이미지의 기본적인 곡선의 모양이 변하지 않는다. Vector라는 말은 크기와 방향성을 갖는 물리량으로 벡터 이미지 즉, Object를 나타낼 때 정보를 수치로 기억하여 나타낸다. (베지에 곡선 응용)
1) AI - Adobe Illrustraor 포맷
2) CDR - Corel Draw 의 기본 포맷
3) WMF - Windows Metafile 포맷
4) DXF - Auto CAD에서 지원되는 포맷 형식
5) SWF - Shockwave Flash 파일 포맷으로 웹사이트에서 많이 사용
6) EPS - 인쇄나 출력을 위한 포맷으로 비트맵도 지원됨.
두 파일 포맷의 차이는 아주 간단하면서도 제일 중요한 차이이다. 출력이나 메모리 용량등의 문제를 고려하면 Vector이미지가 우수하고, 현실 세계와 보다 가까워 보이는 이미지를 얻고 싶을 때는 Raster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또한 그래픽 프로그램에 따라 지원되지 않는 포맷이 있으며, 파일 용량이나 이미지의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 사용하고, 그래픽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변환시킬 수 있다.
---------------------------------------------------
메뉴 : 파일 -> 인쇄 -> Modifi -> 추가
---------------------------------------------------
새 형식의 이름 입력(Formtec 3642)
---------------------------------------------------
시트 당 라벨 : 2
---------------------------------------------------
중심 점 확장
레이저프린터로 출력했는데 손으로 문지르면 글씨가 지워지는 현상을 토너 비정착현상이라 하는데 원인이 몇가지 일 수 있습니다.
1. 프린터 용지 종류의 설정이 올바르지 않거나 토너가루를 흡착시키는 레이저프린터 - 히터의 노후화 문제 (다량동시출력으로 인한 일정 온도부족 현상 일 수도 있씀.)
2. 불량 재생토너를 사용하였거나 정품 토너 특성상 용지와 궁합이 안 맞는 경우.
3. 제품의 보관불량으로 인한 습기과다.
4. 1장을 3회 이상 레이저 프린터에서 출력한 경우.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에는 열전사 방식으로 출력을 하기 때문에 한 종이를 여러 번 급지를 시킬 때 열과 습도의 영향을 많이 주게 되어 용지의 휨(컬)현상 생기거나, 롤러에 있던 잔여토너가 묻어 라벨용지가 회색으로 변하기 도 합니다. (미세한 코팅효과))
5. 제품의 불량.
대부분 1, 2번과 같이 토너, 프린터로 원인으로 인한 증상이 많습니다.
LS-31XX 라벨 제품은 잉크젯 또는 (컬러)레이저프린터에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이고 고객님께서 현재 사용하신 (컬러) 레이저프린터도 인쇄가 가능한 기종라 예상이 되며 일반적인 레이저프린터는 표준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인쇄품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게 정상적이나 인쇄한 용지에서 토너가 떨어지거나 묻어나는 현상은 대부분 프린터의 인쇄 설정(옵션)과 관계가 있습니다.
라벨지의 경우 용지표면에 특수코팅처리 + 일반지 + 점착제 + ...+ 후지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용지 두께가 일반지와는 차이가 있습니다.(1.5~2배 두꺼움) 레이저프린터에서 열을 이용. 최종적으로 토너를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흡착 온도부족으로 인한 현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선 [프린터 속성] -[기존 설정]에 들어가서 용지의 종류를 [라벨지] 또는 [중량지(150g 전후)], [중량지], [레이블]등으로 설정을 변경해 주시면 용지종류에 따라 프린터에서 출력온도를 다르게 하여 이 같은 현상을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원인으로는 용지와 제록스 컬러프린터의 토너 성분과의 궁합이 잘 안맞는 경우일 것 같습니다.
업체간 거래 단위인 물류단위(Logistics Unit), 주로 골판지박스에 사용되는 국제표준 물류바코드로서 생산공장, 물류센터, 유통센터 등의 입ㆍ출하 시점에 판독되는 표준바코드로 사용하시는 경우 폼텍에서 용도가 유사한 2/5 Interleaved(ITF) 또는 [ITF]로 대응(호환)해 사용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주) EAN-14 와 2/5 Interleaved(ITF) 또는 [ITF]의 바코드 모양은 상이합니다.
[디자인 플러스]에서 작업하신 내용을 [디자인 프로 6]로 옮기시려면
[디자인 플러스] 라벨작업창의 첫번째 라벨위치에 디자인하신
라벨을 위치로 옮기시고 [파일] -> [다른이름으로 저장]에서
파일이름에 [***.dgn]으로 직접 입력하셔서 저장을 하세요.
예)비디오1.dgn 으로 저장하신 다음 또 다른 디자인 라벨을
첫번째 라벨위치로 옮기신 다음 "파일 -> 다른이름으로 저장"
예)비디오2.dgn으로 저장. 이런씩으로 순차적으로 하나씩 저장하시면
됩니다. 첫번째 라벨위치로 옮기시는 과정에서 편집내용을 덮어쓰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가 표기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예" 를 하시면 됩니다.
A3 레이저(복합기)프린터는 A3 카세트[서랍] 용지함을 A4 크기로 용지함만 수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용지 공급 방향(용지 오른쪽 상단에 표시된 화살표 참조)이 올바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용지 오른쪽 상단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반드시 급지 및 배출이 되어야 A3 레이저(복합기)프린터
내부에서 라벨 이탈로 인해 (복합기)프린터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실 수 있습니다.
* 카세트[서랍] 공급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첨부된 아래 그림처럼 용지 적재 방향이 올바른지 확인해 주십시요.
* 용지 적재함 수정에 대해서는 프린터 설명서 또는 프린터 전문 엔지니어와 상의해 주세요.
보급형 복합기 인쇄 여백 문제
일부 낱장공급장치가 없는 보급형 복합기프린터(All in One)의 경우 구조적 특성 상 용지 공급이 일정하지 않아 인쇄할때 마다 인쇄위치가 바꿔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차적 조치 방법은 [인쇄미리보기] - [프린터 여백조정]에서 여백 조정과 원도우의 프린터 속성에서 용지 종류를 라벨용지 또는 중량지등으로 변경하신 후 인쇄해 보시고 조정 후에도 변화가 없는 경우 물리적인(급지의 부정확성) 오차로 인해 인쇄 위치 보정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므로 일반 전용 프린터 사용을 권장해 드립니다.
레이저프린터에서 라벨용지 최적의 급지 방법
레이저 프린터에서 용지 걸림현상은 프린터의 구조와 라벨의 특성을 고려하셔서 용지삽입, 출력하시면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용지 삽입은 용지공급함(트레이공급)을 사용하기 보다는 회전, 굴곡이 적은 낱장[수동]공급(1)를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이유는 용지공급함에 적재하여 출력시 라벨용지가 프린터안에서 부분적으로 회전 또는 굴곡(2)과정을 많이 거치며 출력되기 때문에 라벨이 회전, 굴곡부분에서 떨어지거나 붙음현상으로 인해 용지걸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린터 기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출력물을 직선으로 통과하여 배출시키는 용지 배출구가 프린터 뒷편(3)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 또한 회전 또는 굴곡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사용방법이므로 낱장공급과 병행하여 사용하시길 적극 권장합니다.
라벨용지 사용에 적합한 낱장용지공급 & 후면 배출구가 동시지원되는
흑백 레이저프린터 모델들입니다. 프린터 구입에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 추천 흑백 레이저프린터 *****
1. [HP] 레이저젯 프로 M401n (30만원대)
2. [HP] P2035 (단종/중고 10만원대)
3. [HP] P3015 (40만원대)
4. [캐논] LBP251dwz (20만원대)
5. [신도리코] A620dn (10만원대)
6. [Brother] HL-L5100DN (30만원대) - 후면 배출구는 지원 안 됨.
***** 추천 컬러 레이저프린터 *****
1. [HP] 컬러레이저젯 프로 M452nw (40만원대)
2. [교세라] ECOSYS P5021CDN (30만원대)
3. [캐논] CLBP-2260DN (30만원)
4. [신도리코] P210dn (20만원대)
예시) 신도리코 A420dn 모델
1) 전체 모습
2) 전면(수동공급장치)
3) 후면(후면 배출구)
라벨용지 재사용에 관한 주의사항
라벨제품의 경우 레이저프린터에서 재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잉크젯프린터에서 사용 횟수는 무관)
재사용을 위해 반복 인쇄하는 경우 프린터에 남아 있던 토너 잔여 성분에 의해 용지가 점점 검해 질 수 있고 라벨의 점착성분이 열에 의한 화학적 변화로 점착력 약화 증상과 사용된 라벨 영역부분의 점착 성분으로 인해 프린터 오염으로 인한 급지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프린터 제조사에서 보증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잉크젯프린터에서 라벨용지의 급지에 장애가 있으신 경우 사용하는 팁(TIP)을 간략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인쇄 시 용지 하단부터 라벨을 사용해 점차 윗부분을 사용하시면 프린터 용지 공급에 구겨짐으로 인한 급지불량을 최소화 하실 수 있습니다.
인쇄시 마진(여백)이 안 맞는 경우
미리보기 화면은 소프트웨어에서 디자인된 결과물을 인쇄 전 가상으로 보여드리는 화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쇄 시 위치 오차가 발생하시는 경우는 동일한 프린터라 할지라도 사용기간이나 롤러 마모상태, 각 프린터 제조사마다 고유출력 위치 값이 물리적으로 미세한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런 프린터의 오차 값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해 줄 수 있는 기능이 바로 프린터 여백조정 기능입니다.
이는 폼텍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정교한 위치에 출력을 요구는 대다수의 라벨 프로그램, 포토샵과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도 사용되는 필수 기능입니다.
출력 시 여백이 맞지 않을 경우 [프린터여백조정]에서 조정하실 수 있습니다 .
* 여백 조정하실때에는 인쇄 실패하신 라벨용지를 기준으로 눈금자로 측정하셔서 여백조정 후 시험인쇄도 같은 용지를 이용해 출력하시면 보다 정확합니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조정을 하십시오.
1. 디자인 프로 9 : [홈] - [인쇄미리보기] - [프린터여백조정] 디자인 프로 7/8 : [파일] - [인쇄미리보기] - [프린터여백조정] 디자인 프로 6 : [파일] - [프린터여백조정]
2. 현재 출력된 잘못된 인쇄물을 기준으로 눈금자로 확인하여 몇 mm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킬지 결정합니다.
3. (예: 5mm 가 위로 올라가서 잘못 인쇄된 경우.) [수직 여백 : 이동방향 밑으로 5.0 mm 이동]
-. 출력물을 기준으로 왼쪽( ← )방향으로 이동시 - -. 출력물을 기준으로 오른쪽( → )방향으로 이동시 + -. 출력물을 기준으로 위쪽( ↑ )방향으로 이동시 - -. 출력물을 기준으로 아랫쪽( ↓ )방향으로 이동시 +
현재 입력되어 있는 [수평], [수직]칸에 오차값을 증감시킴
4. [수평: ] 0, [수직 :] 5 으로 입력한 후 [확인]합니다.
5. [인쇄]에서 출력을 합니다.
인쇄미리보기 화면 왼쪽의 [프린터 설정]을 눌러 [속성]에서 [용지종류]를 [일반용지]또는[자동]을
[라벨용지] 또는 [중량지(150g 전후)] 등으로 지정을 하면 토너 번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필드추가는 [자료관리]창을 닫은 후 메뉴의
[자료]-[자료구조변경]에서 추가할 필드명과 필드 타입 등을
추가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필드 추가]를 했을 경우 [자료관리]창에는 맨 마지막에
추가한 필드가 생성됩니다.
필드삭제는 [현재필드]난에서 삭제할 필드를 선택하고
[확인]을 선택합니다.
[필드고정]기능을 이용하여, 추가한 필드의 데이터 입력을 합니다.
참고로, [필드고정]기능은 지정된 필드를 고정하여 데이터를
추가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자료내용을 확인할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필드고정을 위한
필드의 선택은 왼쪽 필드를 기준으로 합니다.
가령, 이미 주소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에 우편번호 필드를
새로 추가하여 자료입력을 해야할 경우, 필드고정을 하면,
다른 필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우편번호만 계속해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미 자료를 만드신 상태라 가정하고 응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간략히 드리겠습니다. [고급기능 - 예 : 주소]
1. 디자인 프로 6 에서 만드신 자료를 엑셀화일로 저장.
2. 엑셀에서 주소 다음 필드에 필드7칸 이상 추가.
3. "XXX동"까지 주소. 지번에 들어있는 곳은 주소2로 필드분리.
(엑셀에 데이터 -> 텍스트 나누기 기능 이용[구분기호,공백])
4. 동(읍) 다음 필드에 필드1칸 추가
5. 추가필드에 시, 구(군), 동(읍)을 텍스트 묶기(예 : =A2&" "&B2&" "&C2)
6. 시, 구(군), 동(읍)필드삭제
7. 건물, 번지도 5, 6번 항목과 같은 방법으로.
8. 엑셀파일저장
9. 디자인 프로 6 에서 자료열기를 하신 다음 처음 만드실때와
같은 방법으로 주소, 주소1 필드를 적절히 배치하시면 됩니다.
우선 [파일]-[새로만들기]에서 라벨용지를 선택합니다. 화면에 선택하신 라벨이 나타나면 그리기 도구모음의 [이미지] 아이콘 또는 메뉴의 [삽입]-[이미지]를 선택하고, 라벨용지 위에서 클릭을 하면 [열기]창이 뜹니다.
저장한 파일을 열면, [이미지 등록정보]창이 뜹니다. 여기에서 [개체 영역의 크기에 맞춤]으로 옵션을 변경하시면, 고객님께서 원하는 크기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용지에 선택하신 사진이 뜨면 한글97 이나 MS워드에서 사각형 크기 조절하듯 이 원하는 크기로 드래그하여 조절을 합니다.
이와 관련된 메뉴얼은 폼텍 홈페이지의 [폼텍 소프트웨어 메뉴얼 보기]-[디자인 프로 6(Six)]- [화면설명]-[삽입]-[이미지]를 보시면 됩니다.
프로그램의 메뉴 바 '도움말'->'Formtec Design xxxx 정보...'를
클릭하시면 하단의 이미지와 같이 창이 뜹니다.
여기서 좌측 하단(빨간색 박스부분) Build 6.X.X.X 가
바로 프로그램 버전정보 입니다.
이 정보를 참고로 최신프로그램을 비교하신 다음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시면 됩니다.